분석 단계에서는 이전의 Measure 단계에서 도출된 프로젝트 목표의 개선을 위해 가인자를 도출하고 치명인자(Vital Few)를 선정합니다. 즉, 가인자와 치명인자 선정이 핵심입니다.
이 두가지만 이해하시면 Analyze 단계는 모두 이해하신 것입니다. 오늘은 현업에서 사용되는 6시그마 기법 중 Analyze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목차
가인자 도출방법
가인자를 도출하기 전에, 잠정인자의 개념을 이해하면 좋습니다. 잠정인자는 프로젝트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의미합니다. 잠정인자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도출합니다.
잠정인자는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를 취합하는 것입니다. 가인자는 도출된 잠정인자 중에 비교적 주요한 인자를 선정한 것입니다. 현업에서는 가인자 추출을 위해 주로 Logic Tree, Fishbone Diagram 을 사용합니다.
이 때 등장하는 것이 4M1E (Man, Material, Method, Machine, Environment) 입니다. (요즘은 Measurement를 포함하여 5M1E 라고도 합니다.) 4M1E는 프로젝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5 가지 관점으로 분류한 것입니다.
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분류 항목 간 빠지는 것이 없도록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4M1E 예시
가전제품 포장 Box가 찢어진 것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해보겠습니다. 이 때 발생 경우를 4M 관점에서 한번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.
▶ Man
- 작업자 숙련도
- 작업 부주의에 따른 Box 불량
▶ Machine
- Air 압력
- 가준 이상의 Air 공급 상태 - Box 지지대
- Box 지지대 위치에 따른 불량 - Box 고정 Pin
- Box 고정 Pin 수량 및 위치에 따른 불량 발생
▶ Method
- Box 제함 방법
- 제함을 위한 Box 보충 시기
▶ Material
- Box Spec
- Box Size에 따른 불량 - Box 공급 방법
- 공급 Box의 휘어짐 등 불량 상태 - Box 무게
- Box 무게에 따른 고정 Pin 이탈
이처럼 6시그마의 분석 단계에서 문제의 가인자 도출을 위해 4M1E 를 사용해 나열했습니다.
'품질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ID 제어에 대하여 (0) | 2021.04.20 |
---|---|
증착 공정 - PVD에 대한 이해 (0) | 2021.04.19 |
통계 기초 그래프 활용 - Histogram, Box Plot, Scatter Plot (0) | 2021.04.18 |
측정 시스템 분석 - Gage R&R (0) | 2021.04.18 |
6시그마 - 공정능력이란? (군내변동, 군간변동) (0) | 2021.04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