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FD(Quality Function Deployment)
QFD(Quality Function Deployment)의 정의와 목적에 대해 알아보자. QFD는 한글로 품질기능전개다.
정의
제품은 고객의 욕구와 기호를 반영하여 이들을 설계 및 생산 단계에 적용시켜 목적과 수단의 계열에 따라 체계적으로 전개하는 포괄적인 계획화 과정
목적
제품설계 -> 부품계획 -> 공정계획 -> 생산계획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고객의 요구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하여 고객만족을 최대화하는 것
장점
- 부서 간 장벽제거 및 협동심 증가
- 고객의 소리를 기업전략에 반영하여 제품품질이 안정화 및 개선되고 이를 통해 고객만족과 매출증가
- 설계변경횟수 감소 -> 신제품 개발 소요시간 감소 -> 설계비용 감소
단점
- 범주를 잡기 힘듬
- 고객의 요구와 특성 사이의 상호관계를 결정하기 어렵다
- 판단에 있어서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
- 초기에 많은 시간과 돈이 필요해 자포자기할 수 있다
HOQ(House of Quality : 품질의 집)
정의
부서와 부서 간의 계획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수단.
목적
수단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목적인 고객요구와 수단으로써의 기술적 요구조건 및 경쟁력 평가를 나타낸 것
1. QFD 활용의 핵심적 수단
2. 관련부서 간의 커뮤니케이션 촉진
3. 제품 설계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논의 가능
ex) 휴대폰에 대한 고객의 욕구
-> 기술적반응(조작 편의성, 휴대성, 전기적성능 고려)
-> 품질특성을 세부적 항목으로 만들고 관련정도를 표기(절대적 관련, 관련, 관련약함, 관련X)
-> 요구품질의 중요도 산출 및 경쟁사 분석, 기획품질 등 산출
-> 기술적 반응의 우선순위, 벤치마킹, 자사의 현재위치, 목표 등을 고려하여 비교 및 관리
-> 1~5 내용을 통해 어떤 부서와 어떤 부서 간 협업해야하는 지 등 표기하여 설계
'품질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품질 엔지니어가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(0) | 2021.07.03 |
---|---|
MRP(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)에 대하여 (0) | 2021.05.14 |
품질비용 (Quality Cost) 의 정의와 목적에 대하여 (0) | 2021.05.03 |
[화학공학] 최초의 항생제, 페니실린에 대하여 (0) | 2021.05.02 |
폴리에틸렌 제조 공정에 대하여 (0) | 2021.04.22 |
댓글